9월 재산세 카드로 납부하기,
2022 재산세 카드 혜택 총정리
재산세는 과세대상에 따라 7월과 9월로 나누어 고지됩니다.
1) 7월 : 주택 재산세 1/2과 건축물 재산세 납부
2) 9월 : 주택 재산세 1/2과 토지 재산세 납부
[1] 재산세란?
대표적인 지방세로 일정한 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에게 세금을 부과합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 주택의 1/2과 주택 이외 건축물, 선박, 항공기 :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의 1/2과 주택부속토지 이외 토지 : 9월 16일 ~ 9월 30일
[2] 9월은 정기분 재산세 납부의 달
① 납부기간 : 2022. 9. 16(금) ~ 9. 30(금)
② 납세의무자 : 6월 1일 현재, 재산(주택, 토지)을 사실상 소유하고 있는 자
③ 납부방법
ⓐ 은행 납부
- 납세고지서 납부 : 전국 모든 금융기관(금융기관 CD/ATM기 납부 가능)
- 고지서 없이 신용카드 및 통장을 CD/ATM에 넣고 지방세 납부(지방세입 계좌로 이체 가능)
ⓑ 세무부서 방문 납부
- 신용카드(일부 법인카드 제외)
ⓒ 인터넷 납부
- 위택스 시스템(http://www.wetax.go.kr)
- 인터넷지로 시스템(http://www.giro.or.kr)
ⓓ 가상계좌 납부
- 고지서에 기재된 가상계좌 및 지방세입계좌로 이체
ⓔ ARS 납부서비스
- 1599-7200, 1661-7200
[3] 재산세 카드 납부해야 하는 이유
국세의 경우 납부를 신용카드로 할 경우 수수료를 가져가는데, 재산세는 지방세라 수수료가 없습니다. 거기에 오히려 신용카드로 납부할 경우 각 카드사마다 혜택을 제공해 줍니다.
납부해야 할 본인의 납부 금액을 확인한 후에 가장 좋은 혜택을 주는 카드사를 골라 납부하시면 되겠습니다.
[4] 카드사 혜택 총정리
1) KB국민카드
① (체크카드) 지방세 납부 시 포인트리 4,000점
- 20만 원 이상 시 제공
- 응모 필수
- KB국민 기업 체크, 프리패스, 비씨 플러스 제외
② (체크카드) 지방세 납부금액의 0.2% 포인트리 적립
- 지방세 : 취ㆍ등록세, 재산세, 자동차세, 주민세, 레저세 등
- 포인트리 적립 : 응모 후 결제한 다음 달 15일 이내
- 응모 필수
- KB국민 기업 체크, 프리패스, 비씨 플러스 제외
③ (신용카드) 스타벅스 기프티콘
- 30만 원 이상, 스타벅스 카페라떼 1잔
- 응모 필수, 할부금액 제외
- KB국민 체크, 기업, 비씨, 선불카드 제외
④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7개월 무이자 할부 (수수료 0원)
- 부분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1~3회 차 수수료 고객 부담 (4회 차부터 수수료 0원)
-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4~10개월 차 이자 면제)
ⓑ 3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1~4회 차 수수료 고객 부담 (5회 차부터 수수료 0원)
-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5~12개월 차 이자 면제)
2) 신한카드
① (체크카드) 전체 납무 금액의 0.17% 현금 캐시백
- 현금 캐시백 금액이 1만 원 미만 시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
② (신용카드) 마이샵 쿠폰
- 10만 원 이상 : 1,000원 캐시백
- 30만 원 이상 : 3,000원 캐시백
- 100만 원 이상 : 10,000원 캐시백
- 500만 원 이상 : 25,000원 캐시백
- 1,000만 원 이상 : 50,000원 캐시백
※ 개별 고객에게 발행되는 쿠폰으로, 개별 확인 필요(발행이 안될 수도 있음)
③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7개월 무이자 할부
- 슬림할부(5만 원 이상)
ⓐ 10개월 슬림할부 : 4~10개월 차 이자 면제
ⓑ 12개월 슬림할부 : 5~12개월 차 이자 면제
3) 롯데카드
① (신용카드) 50만 원 이상 결제하고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2매 증정
- 응모 필수, 응모 순수 상관없음
- 50만 원 이상 기간 내 누적 결제 금액 기준(기간 내 1회)
- 11월 1일 제공 예정
- 본인 카드, 가족카드 통합하여 본인 회원 기준 1회만 제공
4) 우리 카드
① 지방세 신용카드 일시불, 체크카드 이용 합산 이용금액 구간에 따라 스타벅스 아이스 아메리카노 Tall 제공
- 40만 원 이상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1잔
- 80만 원 이상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2잔
- 120만 원 이상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3잔
②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10개월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5~12개월 차 이자 면제)
5) 현대카드
① 아래 사용처에서 세금 납 무시 M포인트 사용 가능(*1원 = 1.5M 포인트)
- 국세청 홈텍스
- 위택스 또는 스마트 위택스 앱
- 서울시 이택스 또는 STAX 앱
- 부산시 이택스
②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7개월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할부
ⓐ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4~10개월 차 이자 면제)
ⓑ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5~12개월 차 이자 면제)
6) 삼성카드
① (신용카드) 링크 혜택
- 세금 납부를 포함해 목표금액 이상 이용 시 20,000원 캐시백
② (신용카드) 링크 혜택
- 30만 원 이상 일시불 결제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2매 증정
- 링크 필수, 링크 시점 관계없이 행사 내 건별 이용금액 일시불 30만 원 이상
- 기간 내 1회
- 일시불 결제만 가능(할부 제외)
③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3개월 무이자 할부
- 다이어트 할부(5만 원 이상)
ⓐ 6개월 다이어트 할부 : 3~6개월 차 이자 면제
ⓑ 10개월 다이어트 할부 : 4~10개월 차 이자 면제
ⓒ 12개월 다이어트 할부 : 5~12개월 차 이자 면제
7) 하나카드
①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하나 BC, 기업, 체크, 토스 뱅크, 토스 제휴카드 제외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7개월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4~10개월 차 이자 면제
ⓑ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5~12개월 차 이자 면제
ⓒ 18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7~18개월 차 이자 면제
ⓓ 24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8~24개월 차 이자 면제
8) 비씨카드
①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7개월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4~10개월 차 이자 면제
ⓑ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5~12개월 차 이자 면제
9) NH농협카드
①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6개월 무이자 할부
- 부분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3~10개월 차 이자 면제
10) 수협카드
①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 무이자 할부(5만 원 이상) : 2~3개월 무이자 할부
11) 카카오페이
① (100% 당첨) 70만 원 이상 납부 시 페이포인트 2,000원 지급
- 카톡 고지서로 납부, QR코드 스캔 후 납부할 경우만 자동 응모
- 카카오페이 지방세 청구서 신청 필수
- 카드 납부 가능, 카카오페이 머니 납부 불가능
② 경품 이벤트
- 신라호텔 숙박 + 식사권(1명)
- 카카오페이 포인트 3만 원(10명)
- 치킨 모바일 쿠폰(3만 원 상당, 50명)
카드사마다의 재산세 납부 혜택을 보시고, 납부하시는 금액에 제일 혜택이 높은 카드사를 선택하여 좋은 혜택 받으셨으면 합니다.
#지방세 납부 #재산세 #재산세 납부 #재산세 카드납부 #카드 이벤트 #세금 납부 #재산세 납부방법 #재산세 카드 #재산세 카드 혜택 #9월 재산세 납부 #위택스
'신박한 지식 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과 진로] 중3 아빠가 알고 싶은, 진로를 위한 대학교 학과(미술치료학과) (0) | 2022.10.03 |
---|---|
[학과 진로] 중3 아빠가 알고 싶은, 진로를 위한 대학교 학과 정보(임상병리학과) (0) | 2022.10.03 |
[꿈해몽] 신발나오는 꿈 꾸셨나요? 그렇다면 이렇게 하세요! (0) | 2022.09.22 |
[꿈해몽] 뱀꿈 해몽 (1) | 2022.09.11 |
생활 속 질병 바로 알기 : 통계로 본 공황장애(공황장애 증상 및 함께 유의해야 할 질병) (0)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