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례 문화를 보면, 고인의 장례식을 치르고 난 후 특정시기에 고인을 기리는 제사가 있습니다. 삼우제와 49제, 100일제, 기일 제사가 일반적으로 지내는 제사입니다.
오늘은 여러 제사 중에 49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49제는 한국의 전통적인 장례 문화중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장례를 치르고 49일이 지난 후 상갓집을 정리하고 일상생활로 돌아갑니다.
49제의 유래 및 의미, 49제 날짜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상차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49재? 49제?]
49재를 49제로 알고 있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제사의 제와 같기 때문에 49제로 쓰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말은 49재입니다.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후 올리는 7번의 재(齋)를 뜻하기 때문에 재계할 재(齋)를 쓰는 49재가 맞습니다.
49제 유래 및 의미
49제는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후 49일 동안 지내는 의식입니다. 49일은 사람이 주은 후 다음 생을 받기까지의 기간으로, 이 기간 동안 영가는 중음(中陰)의 상태에 있다고 합니다. 중음의 상태는 혼과 육신이 분리된 상태로, 이때 영가는 다음 생을 받을 연을 정하게 됩니다.
※ 영가(靈駕) : 육체 밖에 따로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적 실체
49제는 영가의 중음의 상태를 극복하고 다음 생을 좋은 곳으로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지내는 의식입니다.
49제의 의미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죽은 자로 하여금 좋은 생을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지내는 것입니다.
둘째,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을 추모하고 위로하기 위해 지내는 것입니다. 죽은 사람은 이 세상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살아 있는 사람은 그 사람을 기억하고 그리워합니다. 49제를 지내면 죽은 사람을 추모하고 위로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49제는 불교의 중요한 의식이지만, 한국에서는 불교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행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죽은 자를 추모하고, 좋은 생을 받도록 기원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의식과도 맥이 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49제 날짜 계산
49제 날짜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고인의 기일을 1일로 계산
- 49제는 매7일마다 7번의 재를 지냄
- 돌아가신 날이 월요일이라면 일요일마다 재를 지냄
49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1일로 하여 계산하고, 돌아가신 날로부터 일주일마다 7번 재를 올려 49일간 고인의 명복을 비는 의식입니다.
7번의 재를 지내는 49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이 49제의 첫날이 되고 7일이 되는 날이 첫재, 14일이 되는 날이 이재, 21일이 되는 날이 삼재, 28일이 되는 날이 사재, 35일이 되는 날이 오재, 42일이 되는 날이 육재, 마지막 49일이 되는 날이 칠재가 됩니다.
49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래는 7번의 재를 올려야 하지만 요즘은 직장생활 등 사정에 따라 형식과 절차가 많이 간소화 되면서 첫재와 마지막 칠재만 지내는 경우도 있으며 마지막 칠재만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49제(49재) 정확한 날짜 계산 방법(예시) | ||
구분 | 요일 | 일수 |
첫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7일 |
이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14일 |
삼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21일 |
사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28일 |
오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35일 |
육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42일 |
칠재 | 일요일 | 돌아가신날 기준 49일 |
※ 날짜 계산 기준 : 돌아가신날 1일 적용, 월요일 가정 |
49제 상차림
49제 상차림은 우리가 평소 지내는 제사상 차림과 비슷합니다.
고인이 살아계셨을 때 즐겨 드시던 음식 위주로 차리기도 합니다. 요즘은 49제 상차림이 점점 간소화되어 가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49제가 고인께 드리는 마지막 인사와도 같은 것이기 때문에 정성을 들이는 게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화장을 했을 경우 무덤이 따로 없기에 집에서 49제를 지냅니다.
- 납골당이 있을 경우 납골당제례실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 절에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음식은 쓰지 않습니다.
- 귀신을 쫓는다는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씁니다.
- 1열 : 시접, 잔반(술잡과 받침대), 떡국
- 2열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3열 : 탕류
- 4열 : 좌포우혜 (좌즉 포 우측 식혜)
- 5열 :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49제 기간에는 고인의 죽음을 기억하기 위해 즐거운 일을 금하는 것이 원칙이며, 여행, 음주등은 피해야 합니다.
그리고 49제 때는 고인의 생전 물건이나 소지품등을 태움으로써 이승에서 못다 한 한을 풀어주고 극락왕생을 빌어줍니다. 49제를 통해서 고인이 다시 인간으로 태어난다고 여기고 남아 있는 자손들은 고인이 이제 편안한 곳으로 가시기를 비는 마음으로 재를 지내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49제의 유래 및 의미, 49제 날짜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상차림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신박한 지식 BO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극초기증상 아랫배 냉 변비 등 완벽 총정리(feat. 걱정말아요 그대) (2) | 2023.11.24 |
---|---|
경계성 지능장애 특징 테스트 완벽 총정리 (2) | 2023.11.23 |
위내시경 금식시간 완벽 정리(feat. 물은?) (1) | 2023.11.20 |
멧돼지 만났을때 상황별 행동 요령 완벽 총정리 (1) | 2023.11.20 |
상속세 세율 공제한도 신고방법 완벽 총정리 (1) | 2023.11.17 |